티스토리 뷰
목차
임신·출산 진료비 부담을 덜고 건강한 출산을 응원합니다!
국민행복카드로 제공되는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에 대해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란?
임산부의 건강관리와 건강한 태아 출산을 위해
정부가 진료비 일부를 국민행복카드(전자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08년 12월 15일부터 시행 중이며, 급여·비급여 진료 모두 지원됩니다.
운영 방식
이 제도는 사회보장정보원과 위탁금융기관이 협력해 운영되며,
전자바우처 방식으로 카드에 포인트(지원금)를 생성하여 사용합니다.
🔹 사회보장정보원: 이용권 정산, 통계관리, 비용처리
🔹 금융사: 카드 발급, 신청 접수, 본인 확인
지원 대상 및 제외 대상자
다음 대상자만 신청할 수 있으며, 일부는 제외됩니다.
🔹 지원대상: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제외대상: 의료급여 수급권자, 유공자 중 건강보험 적용 제외자, 급여정지자(출국자 등)
신청 방법
신청은 본인 또는 가족 대리인이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 방문 신청
1.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 및 지원신청서 발급
2. 카드사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3. 국민행복카드 발급 및 포인트 생성
🟦 온라인 신청
1. 병원에서 임신확인 정보 등록 (요양기관정보마당)
2. 임신부가 카드사 홈페이지/전화로 신청
3. 공단 홈페이지에서 승인 → 카드 발급
신청 가능 카드사 및 접수처
임신·출산진료비 지원을 받기 위해선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카드사는 다양하지만, 신청 가능한 장소가 카드사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표에서 각 카드사별 신청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원 대상 범위 및 지원 금액
🔹 임산부 진료, 약제 및 치료재료 구매 본인부담금 결제
🔹 2세 미만 영유아 진료, 처방약 구매 등 본인부담금 결제
🔹 임신 1회당 100만 원 지원
🔹 다태아: 140만 원 + 추가 태아당 100만 원
🔹 분만취약지 추가 20만 원 지원
지원 항목: 진료비, 약제, 치료재료 (급여/비급여 포함)
💡 꿀팁 정리
🟪 임신 1회당 기본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 분만취약지에 거주 시 20만 원 추가 지급
🟪 태아 수에 따라 추가 금액 지원 가능
🟪 사용 기간은 출산일로부터 최대 2년까지
🟪 카드 수령 후 지정 병의원에서 진료비 결제 가능
사용 기간
🔹 시작: 카드 수령일 또는 바우처 생성일
🔹 종료: 출산일로부터 2년까지
🔹 미사용 잔액은 자동 소멸
잔액 확인 방법
🟦카드사 고객센터 및 문자 확인
문의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보건복지콜센터 ☎ 129
🟦각 카드사 고객센터
꼭! 필요한 혜택은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바우처는 사용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