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전국 ‘공짜’는 아직 아님. 무임(65+ 지하철)
환급(K-패스) · 무제한 정기권(기후동행카드) 조합이 정답!
지역·대상·이용수단에 따라 혜택이 달라져요.
아래 표·카드로 핵심만 확인해 주세요.
전국 공통 교통비 환급 제도인 K-패스는
아래 공식 페이지에서 상세 안내·FAQ를 확인할 수 있어요.
서울 | 무임·정기권·취약계층 지원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우대용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무제한 정기권),
장애인 버스요금 환급이 3축입니다.
기후동행카드는 30일권 62,000원/65,000원(청년 할인권 별도)과
단기권(1·2·3·5·7일)이 있으며, 2025-08-09부터 5호선 하남 구간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 65세+ 지하철 무임
수도권 도시철도 우대용 교통카드로 무임 이용(버스는 별도 정책). 발급·이용은 최신 서울시 안내를 확인.
💳 기후동행카드(무제한)
버스·지하철·따릉이 무제한(권종별). 하남 5호선 구간 포함으로 접근성↑(’25.8.9~).
🚌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월 최대 5만 원(심한 장애인+보호자 합산 10만 원) 환급. 매월 정해진 일정에 계좌 환급.
전국 공통 | K-패스(캐시백형)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일 2회 인정)까지
환급. 환급률은 일반 20% · 청년 30% · 저소득 53.3%이며,
’ 25년부터 다자녀(2명 30%·3명 50%) 유형이 신설·확대됐습니다.
다음 달에 자동 환급되는 전국 단위 교통비 경감 제도입니다.
지방 사례 | 지역마다 다르게
각 지자체는 무임·환급을 별도로 운영합니다.
대표 정책만 카드로 추렸습니다.
🟧 대구·경북 | 어르신 통합무임
’ 25.7.1부터 사용 지역이 대구·경산·영천 → 경북 9개 지자체로 확대. 버스+도시철도 무임.
🟧 경남 | 경남패스(환급형)
월 15회 이상 기본 환급에 더해, 75세+·저소득층은 전액 환급 등 지역 상향 우대 운영.
지방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지자체별 전액지원)
일부 시·군은 자체 예산으로 시내버스 요금을 전액 지원(0원)합니다.
대상은 대개 해당 지자체 주민이며, 노선 범위(모든 노선/일부 제외),
적용 시간, 신분확인 방식(지역카드·모바일·신분증)이 지자체마다 다릅니다.
국가 단위 K-패스(환급)·서울 기후동행카드(정기권)와는 별도 제도입니다.
정책 성격
지자체가 요금 전액을 보전 → 승객 부담 0원
대상
주민등록·생활권 기준(전 주민/연령·학생 등 지자체별 상이)
범위
시내버스 전 노선 또는 일부 구간 제외(광역·좌석 제외 사례 있음)
❗주의 나무위키는 참고용입니다.
시행일·대상·노선은 변동될 수 있으니 최종 신청·이용 전엔 반드시 해당 지자체 공식 공지를 확인하세요.
한눈 비교 | 무료 vs 환급 vs 정기권
무임은 연령·대상 충족 시 ‘0원’ 이용,
환급은 이용 후 일정 비율을 되돌려 받는 구조,
정기권은 선결제 후 기간 내 무제한 이용입니다.
지역·노선·연령에 따라 적용이 달라지니 내 이동패턴에 맞춰 조합하세요.
구분 |
핵심 |
대표 지역/제도 |
---|---|---|
무임(무료) | 연령·대상 충족 시 운임 0원 (대개 도시철도 중심, 일부 지역 버스 포함) |
서울(65+ 지하철), 대구·경북(어르신 통합무임) |
환급(캐시백) | 이용 후 일정 비율을 계좌·포인트로 환급 | K-패스(전국 20~53.3%), 경남패스(지역 상향) |
정기권(무제한) | 정해진 기간 무제한 이용(요금 선결제) | 서울 기후동행카드 (30일권·단기권/하남 5호선 확대) |
지역별 공식 링크(대중교통 무임·환급·정기권)
국토교통부 K-패스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 서울 우대용(65+) 교통카드 |
서울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 부산 복지교통카드 | 인천 노인 무임카드 |
대구 어르신 통합무임 | 경남패스(환급) | The 경기패스(환급) |
※ 각 링크는 지자체·정부 공식 페이지로, 세부 요건·변경 공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꿀팁
서울은 지하철 무임+정기권, 전국 이동/통근이면 K-패스, 경남·대구 등은 지역 우대로 보완.
내 이동패턴 기준으로 조합하면 체감 절감 큼!
❗주의
무임·정기권·환급은 노선/연령/거주 등 세부 요건이 달라요.
특히 일부 민자/광역 노선은 예외가 있으니 출발 전 최신 공지 확인!
지금까지 제도별 차이를 봤다면, 아래는 검색이 많은 세부 질문입니다.
‘할인·환승·길 찾기·택시 포함’ 같은 키워드를 사실 기준으로 한 번에 정리했어요.
대중교통 할인카드? 환급과 뭐가 달라요
‘할인’은 결제 즉시 금액 인하, K-패스·경남패스는 이용 후 캐시백(환급)입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정기권(선결제 무제한),
무임은 0원 이용. 용어를 구분하면 혜택 선택이 쉬워집니다.
환승 시간·환승 횟수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수도권은 정해진 시간 내 하차→승차하면 환승 인정,
횟수 상한이 있습니다(지역별 상이). 심야엔 인정 시간이 늘어나는 곳도 있어요.
실제 계산은 모바일 길찾기가 가장 정확합니다.
택시도 ‘대중교통’ 혜택에 포함되나요
대부분 미포함입니다. K-패스·정기권·무임은 원칙적으로 버스·도시철도 등
공공대중교통 대상. 택시·모빌리티 연계는 별도 지역사업에서만 예외적으로 운영됩니다.
대중교통 전용지구·버스전용차로는 요금 혜택인가요
아니요. 요금이 아니라 통행체계 정책입니다.
차량 통행 제한·우선차로로 이동 시간 단축 효과는 있지만 요금 할인·환급과는 별개예요.
자주 묻는 질문(Q&A)
Q1. 전국이 다 ‘대중교통 공짜’인가요?
A. 아니요. 전국 공통 무임은 없습니다.
서울 65+ 지하철 무임, 지방 ‘버스 무료화’는 지자체별 정책이고,
전국 단위는 K-패스(환급)가 기본입니다.
Q2.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뭐가 유리하죠?
A. 한 달 15회 이상 타고 요금이 꽤 나온다면 K-패스(캐시백) 유리.
매일 여러 번 갈아타면 기후동행카드(무제한)가
체감 절감 큼. 둘을 동시에 중복 환급하긴 어렵습니다.
(무제한권은 유료승차가 아니므로)
Q3. 65세 이상이면 버스도 무료인가요?
A. 지역마다 다릅니다. 서울은 지하철만 무임(버스 별도).
대구·경북 등 일부는 어르신 버스+도시철도 통합무임을 운영합니다.
거주지 공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4. 광역/민자/공항 노선도 다 포함돼요?
A. 예외가 있습니다. 일부 민자·광역 철도,
공항버스/리무진 등은 무임·정기권·환급 적용이 제한될 수 있어요.
노선별 참여 여부는 각 제도(기후동행카드, K-패스, 지자체 공지)에서
최신 목록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5. ‘지방 버스 무료화’는 외지인도 0원인가요?
A. 대개 해당 지자체 주민 대상(지역카드·신분 확인). 노선·시간·연령 요건이 다르고,
광역·좌석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행객은 적용되지 않는 게 보통입니다.
💳시니어 교통카드 활용법, 발급방법 자세히 보러 가기
대중교통 시니어 교통카드 활용법, 발급 방법&사용법, 활용 꿀팁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이동권 보장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이에 따라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어르신들을 위한 시니어 교통카드와 경로 우대 교통 혜택
bsystory73.com
서울=지하철 무임+기후동행카드 · 전국=K-패스 환급 · 경남/대구=지역 우대 강화.
내 조건에 맞춰 고르면 교통비 ‘실전 절감’!